레이블이 한겨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한겨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12월 2일 화요일

'참여정부 치명타' 보도는 한겨레의 원칙

대검 중수부가 오늘 노건평씨에게 사전영장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조선일보는 신났는데요, 과거 이슈까지 억지로 끌어다 붙여 노무현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 흠집내기에 여념 없네요.

자살한 남상국 前사장 부인 "노건평씨 이름 나오니까 힘들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12/02/2008120200025.html
(기사 굳이 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조선닷컴 독자들마저 조선 욕하는 중)

그런데 이상하게도 한겨레 신문마저 센 논조의 기사를 내보냈네요.

청렴 내세운 참여정부 '친인척 비리' 치명타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01&newsid=20081202083102501


아직 제대로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노건평씨가 전화로 농협 회장에게 세종증권 인수 건을 부탁한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본인도 시인했고요. 돈 문제를 떠나서 전화로 청탁 전화했으니 우리가 알고 있는 그 '비리'는 맞습니다. 한겨레에서는 '치명타'라고까지 표현했네요.

댓글에서 많은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한겨레에 실망했다며 항의하는 중입니다만,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오히려 이로서 한겨레 신문은 '정권 관련 어느 비리이건 간에 세게 보도한다'는 원칙을 세운 것이고, 이명박 정부 친인척 비리가 터지면 같은 논조로, '치명타'라 공격하면서 보도할 수 있게 됐으니까요.

우린 이와 관련해서 조중동의 원칙없는 보도 태도를 잘 알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영부인의 사촌인 김옥희씨 비리만 해도 그렇죠. 정권 들어선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터진 대형 비리였는데 조중동은 조용히 넘어가면서 단신 급으로 처리했으며 이명박 정부는 그 망할 '재산 헌납 카드'를 살짝 꺼내 여론마저 무마시켰죠. 그러나 지금 노건평씨 사건은 어떻습니까. 살기까지 느껴질 지경이네요.

참고 : 김옥희에 비해 너무나 비교되는 종이언론의 노건평 보도
http://media.daum.net/society/media/view.html?cateid=1016&newsid=20081127145606227

원칙과 상식이 무시되는 이명박 정부와 조중동.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겨레 신문도 그렇고, 우리 스스로도 원칙과 상식을 다른 어떤 가치보다 우선시 해야 겠습니다.

PS.
글 수정하여 관련자료 첨부했습니다. 이게 상당히 큰 주제로 연결되네요. 참여정부와 진보언론의 현재에 대해 곱씹어보고 MB와 조중동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다시 글 올리겠습니다.

1. 진보언론이 노건평씨 사건 경쟁보도에 뛰어든 이유는?
http://www.dailyseop.com/section/article_view.aspx?at_id=93840

2. 한겨레 기사에 대해 극명하게 갈리는 진보계열 네티즌 반응
사용자 삽입 이미지
.

2008년 5월 14일 수요일

한겨레 추천 - 촛불 든 '2.0세대' 세상이 놀랐다

한겨레에서 이번 촛불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을 '2.0세대'라 칭하고 특집 기사를 내보냈네요. 시위 현장에 간 20대 젊은 기자들이 느낀 충격을 생생히 전하고 있습니다. 요새 10대들이 어떠한 세대인지 잘 말해주고 있네요.

그들에게 참 고맙습니다. 전 아직 한번도 참석하지 못해서 캥기는 마음 그득한데, 오른쪽에서 '뿌~'하고 있는 아들한테 그 현장을 꼭 보여주고 싶습니다. (조만간 갔다 올려구요!)


촛불 든 ‘2.0세대’ 세상이 놀랐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87478.html


..하루 평균 2시간씩 하는 인터넷은 ‘삶의 터전’이다. 전날 밤 은진양은 포털사이트 다음의 ‘엽기혹은진실’에 들어가 또래들과 실시간 댓글로 대화를 나눴다. 대화 주제는 학교 생활이나 인기 연예인 등 마음 가는대로다. 요즘엔 주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새 정보와 기사 등이 실시간으로 교환된다..


촛불 든 ‘2.0세대’ 집회중에도 ‘문자’로 행동 통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87479.html

..관심있는 글이나 사진 등을 발견한 10대들은 이를 ‘독점’하지 않는다. 자신의 미니홈피와 블로그, 가입한 카페 게시판에 내용을 퍼나른다. (중략) 10대가 올리는 게시물은 이런 ‘디지털 인맥’을 타고 ‘일촌 파도타기’나 퍼가기를 통해 다시 전파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옮기는 이의 해석이 덧붙는다..


‘2.0세대’ 인터넷 댓글로 ‘소통혁명’ 주도…“불합리 못참아”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87482.html

..1999년 온라인 청소년 커뮤니티 ‘아이두’(www.idoo.net)가 만들어졌다. 이듬해 5월, 이 사이트를 중심으로 ‘두발제한 폐지운동’이 시작됐다. 석달 만에 16만명이 앞다퉈 서명에 동참했다. 오병현(20)씨는 “10대의 사회 참여는 2000년대초부터 이어진 일관된 현상”이라며 “그동안 기성 세대들이 주목하지 않았을 뿐”이라고 말했다..


‘2.0 세대’ 386부모 ‘뜨거운 피’ 물려받았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87481.html

(기사 잘못 올라온 듯 합니다. 제목은 다른데 아래의 '쭈뼛대고 빼는게 없어'와 기사 내용이 똑같네요. 한겨레 고객센터에 전화로 연락했습니다)


‘2.0 세대’ “쭈뼛대고 빼는게 없어…문제의식 뚜렷”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87483.html

취재 기자들은 가정 먼저 10대들의 ‘적극성’을 꼽았다. 김성환(28) 기자는 “우리 때는 쭈뼛거리고 한 번 빼는 게 미덕이었는데, 지금 10대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취재에 응하는 태도도 10대들은 전혀 스스럼이 없었다”고 말했다. 송경화(25) 기자는 “서로 발언하겠다고 앞다퉈 무대 뒤에 줄을 서고, 집회 현장에서 소그룹을 만들어 불만 사항을 표출하는 모습이 참 낯설었다”고 토로했다.


[기고] 쌍방향 소통 ‘2.0 세대’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87480.html

..‘2.0 세대’의 특징은 아직 유동적이지만 복합적인 것으로 읽힌다. 첫째, 이들은 개인주의적이면서도 소통을 중시하는 열린 공동체를 지향한다. 둘째, 이들은 모바일과 인터넷을 자신의 표현수단으로 삼은 이른바 ‘디지털 유목민(노마드)’이다. 셋째, 이들은 기성세대의 ‘욕망의 정치’에 반해 자아실현을 소중히 하는 ‘탈(脫)물질주의 가치’의 세대이기도 하다. 넷째, 이들은 부모인 ‘386 세대’로부터 사회비판 의식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학습한 ‘격세유전’적 특징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