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로드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로드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3월 25일 수요일

다음 로드뷰 전국확장 - 앞으로 쓰임새는?

(먼저 Daum 로드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아래 기사 먼저 보세요)

다음이 내놓은 특별한 지도 서비스, 로드뷰
http://media.daum.net/digital/others/view.html?cateid=100031&newsid=20090323142511312

Daum 로드뷰는 원래 서울만 제공하고 있었는데 지난 3월 24일 부로 전국 광역시와 제주도 전역으로 확장되었습니다. 특히 제주도가 대단하네요. 다음 글로벌미디어센터(GMC)가 제주에 있어서 그런지^^; 제주도는 정말 디테일하게 잘 구축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위 길은 제주의 유명한 드라이브 코스입니다. 제주시에서 516도로를 타고 올라가다가 한화리조트 방향으로 빠지면 나오는데 삼나무 숲길이 정말 인상적이죠. 사진이 좀 어둡게 나오긴 했는데 정말 최고!ㅎ



여기도 유명한 드라이브 코스, 애월 해안도로입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우측 공터에는 항상 커피를 파는 차가 있는데, 축구선수 최진철 누님이셔서 깜짝 놀란 적 있습니다^_^; (요샌 영업 안하시나..)



혹시나 하고 둘러보다 발견한.. 백록담! 무거운 장비를 매고 한라산 등산까지 하셨네요-_-b 제주 4년 살면서 한라산 등산 한번도 안 했는데(=_=;) 이렇게라도 보게 되니 묘하네요.



금릉해수욕장입니다. 서쪽 한림공원 앞에 있는데 맑은날 썰물 때 가면 정말 예술이죠. 멀리 보이는 비양도, 끊없이 펼쳐지는 고운 모래밭.. 금릉-협재해수욕장은 국내 최고라 말할 수 있는 곳입니다. 해오름식당에서 흑돼지 고기 사서 협재에서 논 다음 저녁 노을 바라보며 실컷 구워먹었던 맛은 정말 -_-b



마지막으로 다음 글로벌미디어센터.. 역시 촬영할 때 GMC 직원들 나와서 사진 찍었네요ㅎ 다음의 특권(?)으로 주차장까지 들어가 볼 수 있습니다. 석종훈 전 대표님도 보이네요. 참고로 이렇게 보이는 로드뷰 사진은 퍼가기 기능을 통해 url을 퍼뜨릴 수도 있습니다. (근데 미본 사람들은 안 찍었나효;;)

고해상도 항공사진 기반의 스카이뷰, 그리고 로드뷰 서비스. 앞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요?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겠습니다. (글 수정해서 조금 더 보강했습니다)

첫째, 블로그/로컬 사이트 콘텐츠가 풍성해지고 로드뷰로 모두 연결

관광, 맛집 등 로컬 정보를 기반으로 한 블로그나 로컬 사이트도 많은데요, 로드뷰의 퍼머링크 기능을 이용하면 해당 장소를 좀 더 가까이서 둘러보게 끔 링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뽕다르님의 다음 로드뷰로 따라가본 1박2일 제주도편!!! 같은 콘텐츠가 더 많아질 수 있겠죠.

그러나 현재는 일방향 링크만 구축 가능한데(블로그를 타고 로드뷰 확인하고 끝), 로드뷰가 더 발전되면 어디서든 링크를 타고 로드뷰로 들어가서, 거기에 링크 걸린 다른 콘텐츠도 확인할 수 있는.. 그런 쌍방향 구조로 확대 개편될 수 있겠습니다. (지역정보의 성지.. 포털 지도 서비스들이 노리는 것이겠죠?)

둘째, 기발한 매시업 서비스 속속 등장

좋은 정보/콘텐츠가 잘 오픈되어 있으면, 그리고 Open API 정책을 잘 잡으면 이를 활용한 외부의 기발한 관련 서비스가 등장하는 건 시간문제입니다. Daum이 지도와 관련된 모든 사이트를 개발할 수도 없고 개발할 필요도 없는거죠. 최근에 열렸던 T옴니아 대회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마이크를 이용해서 피리를 부는 어플리케이션도 등장했죠;;

'T*옴니아 개발자 대회' 기상천외한 SW에 놀랐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9&aid=0001977292

야후도 지도 서비스를 강화하면서 작년에 컨퍼런스(야후 맵 데이)를 연 적 있어서 참석했었는데, 하루에 트래픽 얼마  이하 서비스는 무료로 지도를 갖다 쓸 수 있는 등 세부 정책안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누가 얼마나 좋은 콘텐츠를, 잘 열여주고, 잘 지원해주는 지 관건이 되겠죠.

셋째, 모바일과 결합하면? 결국은 콘텐츠 싸움

모바일 기기는 이동하면서 활용되기에, 이미 보고 있는 장소를 작은 화면의 로드뷰로 볼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스카이뷰/로드뷰 정보에 기반한 외부 콘텐츠가 쌓이기 시작하면 모바일에서 그 위력을 더욱 더 떨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먼 미래를 가정해 본 건데.. 싸이월드에서 M이란 남성 사용자가 있고, F란 여성 사용자가 있다고 가정할께요. 둘은 일촌관계입니다. 얘네 둘이 강남역 6번 출구에서 만난 뒤 모바일 기기를 열어보면 둘의 위치를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콘텐츠를 바로 추천해 줄 수 있겠죠.

"M과 F가 같이 있군요. 혹시 연인이라면 근처의 OO 레스토랑, 둘이 그냥 절친 사이라면 OO 호프집.."  물론 추천해주는 콘텐츠는 다른 사용자들이 Daum 지도에 쌓아놓은 정보일테니.. 우선 많은 정보가 모이도록 해야 하고, Rating 시스템이 잘 구축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 입니다.

간략하게 세 가지로 Daum 지도와 로드뷰 활용 방안을 생각해 봤는데요,

기반을 갖췄으니 좋은 수익모델도 만들어 내면 좋겠습니다. 웹으로 돈 벌기가 점점 쉽지 않은 세상이 되고 있는데 Daum이 지역광고 모델을 잘 만들어 한국의 웹 전체가 풍성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PS. 웹으로 돈 벌기가 힘들어지고 있음을 알려주는 테크크런치 최근 글.

Why Advertising Is Failing On The Internet
http://www.techcrunch.com/2009/03/22/why-advertising-is-failing-on-the-internet/
.